바다의 우유 혹은 바다의 소고기라고 불리는 굴은 9월~12월 제철 수산물 중 하나로 예전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완전식품으로서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철분과 아연과 같은 영양성분도 풍부하고 맛도 뛰어난 식재료로 많은 분들이 찾는 제철 음식으로 여러 효능들이 있으니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굴의 효능
1) 빈혈 개선
굴에 들어있는 철분들의 적혈구의 생성을 도와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이로 인해 빈혈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술 속에는 칼슘, 마그네슘, 인등의 성분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들 또한 빈혈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 정력강화
굴은 예로부터 카사노바도 찾았다고 알려진 만큼 자양강장에도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천연정력제로 굴속에 있는 아연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시켜 자양강장 및 정력강화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3) 피부미용
굴 속에 비타민과 무기질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이 성분들이 피부 탄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는데 도움을 주어 피부미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굴속에 있는 항산화 성분이 피부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고 재생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고 아연 성분은 아토피와 습진 등 피부 질환을 억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4) 뇌 건강
굴 속에 들어있는 불포화지방산 DHA는 참치에 비해 2배가 들어있고 DHA와 EPA는 두뇌계발과 건강에 좋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굴에는 타우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뇌 기능 활성화와 뇌세포 건강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고, 치매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성분을 억제해서 치매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5) 성인병 예방
굴 속에는 많은 양의 타우린과 EPA, 핵산 등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있고, 이 성분들이 혈압 조절에도 도움을 주어 고혈압과 동맥경화와 같은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2. 굴의 권장 섭취량 및 부작용
1) 굴의 권장 섭취량은 하루 10~20개입니다.
2) 굴은 찬 기운을 가진 음식으로 권장량 이상의 섭취를 했을 시에는 복통, 설사, 소화불량 등을 유방 할 수 있습니다.
3)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생굴로 섭취했을 시 감염위험이 높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깨끗이 씻은 뒤 익혀서 드시길 권장드립니다.
4) 굴은 아연이 풍부한 음식으로 아연 과다 섭취 시 나오는 부작용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에는 메스꺼움, 복통, 발열 등이 있습니다.
3. 굴 고르는 방법
1) 청색을 띠고 유백색, 가장자리가 검은색이고 선명한 것
2) 손가락으로 눌렀을 시 탄력이 있고 미끈한 것
3) 선도가 떨어져도 물에 넣어두면 신선해 보이기에 꼭 손으로 눌러보아야 합니다.
4) 5월부터 8월은 독성이 있어 섭취를 피하는 게 좋습니다.
4. 굴 보관방법
1) 냉장 보관 시
- 세척한 굴을 밀폐용기에 담아줍니다.
- 굴이 잠길만큼 물을 붓고 레몬즙을 3~4큰술을 넣어줍니다.(레몬즙은 살균효과와 굴의 영양소 흡수를 도와준다고 합니다)
- 뚜껑을 닫고 냉장보관을 합니다.
- 생으로 보관 시에는 1~2일, 익힌 굴은 3~6일까지 보관 가능합니다.
2) 냉동 보관 시
- 손질한 생굴을 생수와 함께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보관을 합니다.(생수와 함께 얼리면 굴의 색과 심감 변형이 적고, 그대로 국과 탕으로 사용이 가능)
- 보관 기간은 4~6개월까지 가능합니다
- 재냉동은 세균 증식의 위험이 있으니 안됩니다.
'일상 >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쉽게 알아보는 겨울철 영양덩어리 늙은 호박의효능과 부작용 (0) | 2022.11.05 |
---|---|
손쉽게 알아보는 가을, 겨울철 제철 음식 고등어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2.11.05 |
11월~2월 겨울 제철 채소인 시금치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2.11.02 |
홍삼의 효능과 구매 시 주의사항 (0) | 2022.11.01 |
다이어트의 도움이 되는 스테비아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