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레시피5

겨우내 먹을 수 있는 유자청 레시피 유자청 만들기 겨우내 감기 걸렸을 때나 몸에 기운이 없을 때 달콤하고 향긋하게 즐길수 있는 유자차를 만들기 위한 유자청 레시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껍질부터 과육까지 향을 살려 만들면 차로 만들어서 마실 수도 있고 요리의 드레싱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1. 유자청 만들기 1) 재료 준비 ① 유자 6개 기준 ② 설탕은 과육과 같은 그람수로 준비합니다. ③ 베이킹소다 2큰술 ④ 열탕 소독한 밀폐 유리병 2) 만드는 순서 ① 껍질째 만들기 때문에 베이킹 소다를 이용하여 껍질을 깨끗이 문질러줍니다. ② 문질러 준 뒤 바구니에 유자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준 뒤 5분간 넣어둡니다. ③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주세요. 물기가 남아있으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④ 껍질과 과육을 분리.. 2022. 11. 22.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총각김치 레시피 총각김치 황금 레시피 11월 제철 채소인 무를 이용한 총각(알타리) 김치 만드는 방법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총각김치는 매콤 달콤한 맛과 아삭한 식감으로 먹기도 좋고, 무에 함유된 영양소를 같이 먹을 수 있는 음식입니다. 1. 총각무 고르는 방법 총각무를 고를 때는 토종 총각무를 구매하시고 만졌을 때 단단하면서 무청이 짧은 것을 고르는 게 좋습니다. 간혹 모양이 이뻐 보인다고 버섯모 양인 것을 고르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런 무들은 보통 속이 비어있고 심이 박혀 있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사진 2. 김수미 총각김치 황금 레시피 재료 - 총각무 5단, 쪽파, 북어 대가리, 다시마, 멸치, 찹쌀풀 1 국자, 생수 1.5L, 고춧가루 10 국자, 다진 마늘 1 국자, 생강 1/2 국자, 멸치액젓 1 국자, 매.. 2022. 11. 14.
누구나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김장철 깍두기 레시피 김장 깍두기 황금 레시피 김장할 때 배추김치와 함께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깍두기인데요, 제철 무를 이용해서 시원하고 아삭한 맛이 일품인 깍두기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백종원 깍두기 황금비율 레시피 재료 준비 - 무 3개 , 굵은소금 1/2컵, 설탕 1/2컵, 새우젓 3T, 간 생강 1T, 간 마늘 1컵, 액젓 1/3컵, 굵은 고춧가루 1컵 반, 고운 고춧가루 1컵 반, 꽃소금 2T, 물 2컵, 밀가루 3T 만드는 순서 1) 무는 흐르는 물에 껍질째 깨끗이 씻어줍니다. 2) 적당한 크기로 썰어주세요. 3) 다 썬 무는 볼에 옮겨 담은 뒤 굵은소금과 설탕을 넣어 비벼주고 20분 정도 절여줍니다. 4) 물 2컵에 에 밀가루 3T를 넣고 약불에서 밀가루 풀을 만들어 줍니다. 5) 완성된 .. 2022. 11. 10.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김장철 동치미 레시피 김장철 동치미 만드는 방법 동치미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는 김치중 백김치와 더불어 대표적인 김치로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다른 김치들과 다르게 시원한 국물을 같이 먹는 게 특징인 김치로, 겨울 김장철에 배추김치와 같이 만들어 먹는 김치중 하나입니다. 땅에 묻은 동치미는 한 달가량 지나야 제 맛이 난다고 알려져 있고, 맛이 나기 시작하면 집 안에서 열흘 가량 보관하면 익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1. 동치미의 재료 - 무 20개 기준(20 kg) 동치미용 무 20개(20kg) 굵은소금 450g 배 1.2kg 쪽파 100g 갓 500g 대파 흰 뿌리 10개 삭힌 풋고추 200g 청각 100g 마늘 100g 생강 100g 동치미 국물 물 10L 소금 300g 2. 재료 선택 및 손질 방법 방법 1) 무는 작고 단단한면.. 2022. 11. 9.
손쉽게 알아보는 김장김치 10포기, 20포기 양념비율 김장김치 10포기, 20포기 양념비율 찬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면 준비해야 할것들이 몇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김장이죠. 김치는 배추, 무, 고춧가루 등 들어가는 재료와 만드는 사람에 따라, 날씨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김장을 한다는 행위는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지는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 조선시대부터 '품앗이'라 하여 마을 사람들이 서로 돕는 문화가 있었고 그 과정 중에 서로 도와서 김치를 담그던 것이 오늘날의 김장 문화로 이어진게 아닐까 하는 추측만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김장의 시기는 정확이 언제다 라고 정의된건 없지만 보통 초겨울인 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 사이에 집안마다 하는 시기와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입동' 을 두고 10일 내외로 담그는 김치가 맛이 제일.. 2022. 11. 8.